mkc21.co.kr:멘토링코칭교육전문기관,멘토코칭연구소
커뮤니티

왼쪽 메뉴

  • 공지사항
  • 수료소감
  • FAQ
  • 칼럼
    • 전체리스트
    • 나병선박사
    • 황동조교수
    • 한용암교수
    • 유수정본부장
  • 뉴스레터

왼쪽 배너

  • 멘토링교육문의:02-733-7551/bsnaa@hanmail.net
  • 2014년 공개과정 일정
  • 2014년 전체교육프로그램
  • 강의/원고 청탁서
  • 교육참가신청서
  • 커뮤니티
  • 나병선박사
나병선박사
 
  멘토를 찾는 방법
  
 작성자 : 나병선
작성일 : 2008-02-29     조회 : 7,204  



멘토를 찾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 필요성에 따라, 그리고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멘티를 찾는 최적의 방법을 활용할 수가 있다.

먼저 자신이 직장인일 경우, 회사에서 멘토링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면 멘토 찾기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멘토와 연결이 되었을 경우 멘토링 활동에 적극적으로 임해야 한다. 멘토링 효과는 멘토와 멘티가 얼마나 주도적으로 멘토링 활동에 열정을 쏟느냐에 따라, 크게 나타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만약 멘토링 제도를 도입하지 않은 조직에 속해 있다면, 먼저 인사부서나 교육부서에 멘토링 제도의 실시를 요청하라. 최근에 멘토링 제도에 대해 검토를 하지 않는 인사부서나 교육부서는 거의 없기 때문에, 의외로 쉽게 멘토를 구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래도 멘토를 구할 수 없다면 조직 내에서 자신이 스스로 멘토를 찾아 나서야 한다.
 
만약 조직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일 경우에는, 주변에서 멘토를 물색하여 멘토링을 받도록 하면 된다. 이때 멘토와 코치를 구분해야 한다. 코치는 멘토와 매우 흡사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멘토는 코치의 역할, 교사의 역할, 상담자의 역할과 후원자의 역할까지도 담당해야 한다. 그러므로 멘토는 여러 가지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성품과 역량이 훌륭해야 한다.

멘토링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에게 멘토 역할을 부탁할 때에는 자신이 얻고자 하는 멘토링 목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어야 한다. 만약 그가 멘토가 되는 것에 부담을 느낀다면 성심을 다하여 이해를 시키고 멘토로서의 역할에 대해 보답을 해야 한다. 개인적인 멘토는 과외 교사와도 같으므로 시간적 경제적 부담에 대한 보상을 하지 않을 경우 훌륭한 멘토를 만나기가 어려울 것이다.

그 외 여러 가지 기준을 두어 어떠한 행사나 필요한 시기에만 멘토링을 받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멘토링은 체계적인 멘토링이 아니다. 전통적인 방식에 의한 변형된 멘토링 방식이다. 체계적 멘토링은 조직에서 시스템으로 도입하여 실시하는 멘토링을 말한다.

멘토가 필요하다면 스스로 찾아 나서야 한다. 왜냐하면 어느 누구도 내가 먼저 멘토가 되어주겠다고 나서지는 않기 때문이다. 인생을 살아가면서 누구에게나 몇 명 정도의 멘토는 필요하다. 내게 어떤 목적으로 몇 명의 멘토가 필요한지 생각해 보고, 적극적으로 멘토를 찾아 나서자.
 
멘토를 찾는 방법은 자신의 멘토링을 받고자 하는 목표를 분명히 하고 그 목표를 달성토록 도와줄 만한 사람의 이름을 적고, 그 사람과의 만남을 구체적으로 계획한다. 가능한 방법을 활용하여 그 사람을 만나 진심으로 멘토가 되어줄 것을 요청하고 성실하게 멘토링 활동에 임한다. 이러한 멘토찾기는 내 인생의 매우 중요한 과정임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