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c21.co.kr:멘토링코칭교육전문기관,멘토코칭연구소
커뮤니티

왼쪽 메뉴

  • 공지사항
  • 수료소감
  • FAQ
  • 칼럼
    • 전체리스트
    • 나병선박사
    • 황동조교수
    • 한용암교수
    • 유수정본부장
  • 뉴스레터

왼쪽 배너

  • 멘토링교육문의:02-733-7551/bsnaa@hanmail.net
  • 2014년 공개과정 일정
  • 2014년 전체교육프로그램
  • 강의/원고 청탁서
  • 교육참가신청서
  • 커뮤니티
  • 나병선박사
나병선박사
 
  핵심인재 멘토링의 핵(核) - 경영자 멘토링
  
 작성자 : 나병선
작성일 : 2004-07-17     조회 : 7,549  



경영자 멘토링(Executive Mentoring)

경영자 멘토링이란 1:1 전담 멘토를 통해 경영진들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고민과 문제를 해결하고 실력을 개발하는 활동이다.

일류 기업이 되기 위한 요건으로 많은 사람들이 지목하는 것 중의 하나가 경영자의 탁월한 리더십이다. 기업의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고 조직과 사람을 관리, 리드함에 있어서 그 핵심 축이 바로 경영자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리더십이 기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원천으로 부각되면서, 경영자 육성 수단으로 선진 기업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운영되고 있는 제도가 경영자 멘토링(Executive Mentoring)이다.

경영자 멘토링이란

경영자 멘토링이란 경영자들이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1:1 전담 멘토를 두고 문제를 상담, 조언, 해결하는 제도이다. 사실, 조직에서 경영자 만큼 힘들고 외로운 사람도 드물 것이다. 자신의 고민을 누구에게 얘기할 수도 없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할 때 조언을 구할 곳도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영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고 전문성과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조언하고 도와주는 것이 경영자 멘토링의 핵심 기능이다.

경영자 멘토링은 몇일, 또는 몇 주간의 일시적 교육 차원이 아닌, 몇 달 이상에 걸쳐 상대적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지기 때문에, 경영자들이 바람직한 태도나 행동을 습득하는 데 효과적이다. 특히, 멘토는 일선 업무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지도해 주기 때문에, 바쁜 업무 때문에 자리를 비우기 힘든 경영자에게 시간적으로도 많은 이점을 제공해 줄 수 있다.

누가 멘토를 필요로 하는가

경영자 멘토링의 일차적 대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진 위치로 막 승진한 사람이다. 경영자 대열에 들어선 사람은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전략적 사안이나 조직 및 인력 관리 등 많은 복잡한 과제에 직면하게 되면서, 업무적으로나 심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가능성이 높다. 이들 신임 경영자가 새로운 직무에 빨리 적응하고, 성공적으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실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멘토가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높은 성과를 내고 있는 소위 스타(Star)급 경영자도 멘토링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현재 조직에서 인정 받고 있다고 해서 자기계발을 소홀히 할 경우, 자신의 강약점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현실에 안주해 버릴 수 있는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전문성과 신뢰성을 갖춘 멘토 확보

경영자 멘토링에 있어서 적절한 멘토의 선발은 특히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멘토는 외부의 전문가(예를 들어, 산업 전문가, 전략 전문가, 심리 전문가 등)나 내부의 성공한 경영자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멘토는 경영자가 담당하고 있는 사업 및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 신뢰감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경영자도 자신의 고민 거리를 멘토에게 솔직히 얘기할 수 있으며, 멘토도 문제 해결 대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파트너로서의 멘토

멘토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조언해 주는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멘토는 교사,코치,상담자,후원자의 역할을 통해 도와주는 사람이기 때문에, 경영진에게 일방적으로 문제점을 제시하고 개선하도록 강요해서는 곤란하다. 멘토는 경영자 주변에 있는 다양한 사람(상사, 동료, 부하 등)들로부터 여러 정보를 얻어 경영자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심층 파악하고, 개선 방향에 대해 조언 및 자문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이러한 멘토링을 통해, 경영자가 자신의 문제점을 자각(自覺)하고 적극적으로 개선해 가는 자세를 갖도록 유도해야 한다.

경영자 멘토링은 단지 코앞에 놓인 문제에 답답해 하는 경영자의 심리적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것만이 목적은 아니다. 궁극적으로 경영자의 경영 능력과 멘토십(멘토링리더십)을 강화하는 것이 진정한 멘토링의 목적이다. 따라서, 기업은 경영자 멘토링을 경영자 육성 차원이라는 큰 맥락에서 바라보고, 다양한 핵심인재 육성제도와 거시적으로 연계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